반응형 서비스기획자2 [주니어 기획자 일일 회고] 내 기획에 대한 확신은 어디서 오는가 [회고] 내 기획에 대한 확신은 어디서 오는가 기획을 하면서 그리고 개발자, 디자이너와 같이 협업하면서 항상 드는 의문이 있었다. 과연 내가 기획한 것이 맞는 것일까? 서비스의 방향성에 맞게 정책을 세운 것일까? 내 기획이 맞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? 이것이 나만의 고민인지 모든 기획자들의 갖는 의문인지 알고 싶었다. 오늘 티타임을 가지며 여러 기획자에게 '자신이 기획이 맞다는 확신은 어떻게 갖나요? 개발자나 디자이너가 문의를 하고 협의를 하는 과정에서 내 기획이 틀렸고 상대방의 의견에 동요되지 않나요?'라는 질문을 했다. 그에 대한 답변은 다양했다. 답변 01 : 내 기획이 맞다. 자신감을 가져라 내 기획이 틀렸다는 생각보단 자신이 한 기획에 대해 자신감을 가져라. 서비스의 방향성과 User.. 2022. 8. 24. 주니어 서비스 기획자 포트폴리오 만들기 (feat. 포트폴리오 구성 방법, 프로젝트 수, 포트폴리오 용량 최적화) 서비스 기획자로 처음 포트폴리오를 준비할 때 막연할 때가 많습니다.그중 가장 고민되는 부분은 내가 만든 이 서비스를 어떤 flow로 포트폴리오에 녹여낼 것인가입니다. 최근에 이직 준비하면서 만들어뒀던 포트폴리오 포맷이 있는데요, 이 포맷으로 카카오와 쿠팡 서류 전형에서 무리 없이 합격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.포트폴리오 포맷 구성저는 아래 순서대로 각 프로젝트의 스토리를 풀어냈습니다. 만약 1~4번까지의 스토리/과정 없이 결과물에 집중되면 기획자로서의 역량을 제대로 어필할 수 없게 됩니다. 즉 1~4번에 대한 과정에 자신이 갖고 있는 기획자로서의 역량을 녹여내야 합니다. 1. 프로젝트 목표 프로젝트를 만들게 된 문제의식입니다. 왜 내가 이 서비스를 만들게 되었는지, 또는 왜 이 서비스를 개편해야 했는지에 대.. 2022. 2. 8. 이전 1 다음 반응형